변수 값에 어떠한 값(value)을 담아 사용하는데 이 값을 자료형(data type) 또는 타입(type)이라고 한다.
변수에 저장된 값(value) 에는 해당하는 타입(type) 값이 할당되게 되는데 타입(type) 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.
각각 간단하게 주석을 달자면 아래처럼 말 할 수 있다.
int -> 정수형
float -> 실수형
string -> 문자형
complex -> 허수형
bool -> Ture / False 형
tuple -> 고정 데이터형
list -> 리스트형
dict -> 딕셔너리형
NoneType -> 논타입형
function -> 펑션형
변수에 저장된 값(value)의 타입(tpye)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 변수의 타입(type)이 결정된다.
하나 하나 간단히 타입값을 알아보도록 하자.
1. int (정수형)
1이라는 값(value)을 a라는 변수에 저장한뒤
a=1
type 명령어를 통해 1이라는 값(value)의 자료형을 확인하면 int 형인 것을 알 수 있다.
type(a)
>> int
2. float (실수형)
a에 실수 값을 넣고 타입(type)을 확인하면 float 이라고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a= 1.2
type(a)
>> float
3. str(string) (문자형)
str 문자형으로 쓰이며 string 이라고 한다.
a='python'
type(a)
>> str
문자형을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문자형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기 위해 "" 또는 ''를 그림과 같이 값(value)의 끝에 달아줘야 한다. 반대로 말하자면 "" 또는 ''가 값(value)의 끝에 달려 있다면 문자형(str)이라고 할 수 있다.
4. complex (복소수형)
복소수의 형태일 경우이며 실수나 정수형의 숫자 뒤에 j를 붙여 나타낸다.
a = 3+2j
type(a)
>> complex
'Python base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 crawling (웹 크롤링) 크롤링 전 알고 가야 할 지식 2 (1) | 2023.03.24 |
---|---|
web crawling (웹 크롤링) 크롤링 전 알고 가야 할 지식 1 (0) | 2023.03.24 |
Python 기본 문법 정리 2 (0) | 2023.03.03 |